-
💼 직장인이 연금저축펀드, IRP, ISA를 투자한다면 ?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까?주식, 경제 한스푼/재테크 팁 2025. 10. 27. 10:01반응형
안녕하세요. 경제한스푼 투자블로거 뀨 : ) 입니다.
요즘 “세액공제 된다더라”, “ISA가 비과세래!” 같은 얘기 많이 들어보셨죠? 😊
그런데 막상 시작하려고 하면, 연금저축펀드·IRP·ISA가 다 비슷하게 느껴집니다.
오늘은 직장인 기준으로 어떤 계좌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쉽고 확실하게 정리해볼게요!
1️⃣ 핵심 요약 (이거 하나만 기억해도 절반은 성공!)
- 연금저축 + IRP 합산 세액공제 한도: 연 900만 원 ✅
- 연금저축 단독 한도: 연 600만 원
- 세액공제율: 총급여 5,500만 원 이하 → 16.5%, 초과 → 13.2%
- 총 납입한도: 세액공제와 별개로 연 1,800만 원까지 납입 가능
즉,
연금저축 600만 원 + IRP 300만 원 = 합산 900만 원
으로 세액공제 혜택을 최대로 받을 수 있다는 뜻이에요 💡
2️⃣ 세 계좌 비교 요약표
구분 연금저축펀드 IRP (개인형퇴직연금) ISA 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 주요 목적 노후자금 마련 퇴직금 + 연금 통합 관리 중기 투자 & 절세 세제 혜택 연 600만 원 세액공제 연금저축과 합산해 900만 원 한도 수익 비과세 or 낮은 분리과세(9.9%) 중도 인출 가능(세금 부담 있음) 거의 불가 가능 투자상품 펀드, ETF 등 다양 펀드, ETF, 예금 등 예금, ETF, 펀드 등 과세 시점 연금 수령 시 3.3~5.5% 연금 수령 시 3.3~5.5% 비과세/분리과세
3️⃣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까? (실전 순서 가이드)
✅ Step 1. 연금저축펀드부터 시작!
세액공제 혜택이 가장 크고, 투자 운용 자유도가 높습니다. 장기 ETF 투자에 딱이에요 😎
💡 예시:
연봉 5,000만 원 직장인이 연 600만 원 납입 → 16.5% 세액공제 → 약 99만 원 환급!운용 팁:
S&P500, 미국 배당 ETF, 글로벌 인덱스 중심으로 분산하고, 10년 이상 꾸준히 유지해보세요 🌱
✅ Step 2. IRP로 추가 세액공제 채우기
연금저축으로 600만 원 채운 뒤, IRP에 300만 원 더 납입하면 합산 900만 원 세액공제 가능합니다.
📊 예시:
연금저축 600 + IRP 300 = 총 900만 원 × 16.5% = 148.5만 원 환급 🎉운용 팁:
IRP는 중도인출이 어렵기 때문에 ‘진짜 노후용’으로 생각하세요.
퇴직금도 IRP로 자동 이체 가능하니, 장기계좌로 딱 좋습니다.
✅ Step 3. ISA는 그 다음 — 비과세 + 유연한 투자
ISA는 세액공제는 없지만, 수익에 대한 세금이 줄어드는 매력적인 계좌예요 💵
💡 예시:
ETF 수익 1,000만 원 → 일반계좌 세금 154만 원 vs ISA 세금 99만 원!
(3년 이상 유지 시 비과세 한도도 적용)운용 팁:
- 3년 이상 유지 시 비과세 혜택 💸
- ETF 자동투자나 단기 목표 자금 관리에 적합
4️⃣ 올바른 투자 순서 정리 💡
순서 계좌 이유 1️⃣ 연금저축펀드 세액공제 혜택 + 운용 자유도 높음 2️⃣ IRP 추가 세액공제 + 노후자금 통합 관리 3️⃣ ISA 비과세 혜택 + 중기 자산 운용
5️⃣ 자주 하는 실수 ⚠️
- ❌ 연금저축 600 + IRP 900 = 1,500만 원 공제 가능? → 아니요! 합산 900만 원 한도입니다.
- ❌ IRP를 단기 자금으로 사용 → 중도인출 제한이 많아요.
- ❌ 세액공제율을 확인하지 않고 계산 → 소득 구간 따라 다릅니다.
6️⃣ 실제 세액공제 예시 (정확 계산)
- 총급여 5,500만 원 이하: 900만 원 × 16.5% = 148.5만 원 환급
- 총급여 5,500만 원 초과: 900만 원 × 13.2% = 118.8만 원 환급
7️⃣ 마무리 ✨
요약하자면 👇
- 1️⃣ 연금저축으로 600만 원 채우고,
- 2️⃣ IRP로 합산 900만 원 세액공제 완성,
- 3️⃣ ISA로 여유자금 굴리기!
이 순서만 지켜도 절세 + 노후 + 투자, 세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어요 🐰
오늘 당장 1만 원부터 시작해보세요. 꾸준함이 복리의 마법을 만들어줍니다 🌱
📌 (2025년 기준 세법 반영)
자료 출처: 기획재정부, KB금융그룹, 신한은행, 국세청 세제개편안 요약자료.반응형'주식, 경제 한스푼 > 재테크 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💱 환헤지 vs 비헤지 — 환율 리스크 완전 정리 🌍 (2) 2025.11.07 🎯 액티브 vs 패시브 ETF 완전 정리 (심화편) (0) 2025.10.30 30대 직장인을 위한 ETF 포트폴리오 전략 비교 (0) 2025.10.2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