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. 경제 한스푼 투자블로거 뀨 : ) 입니다.
해외ETF를 투자하다 보면 “같은 ETF인데 왜 연금저축펀드나 ISA로 사는 게 더 유리하냐?”는 의문이 생깁니다 🤔
오늘은 바로 그 이유를 깔끔하게 정리해볼게요!
해외ETF는 배당금과 매매차익 모두에 세금이 부과됩니다.
하지만 연금저축, ISA, IRP 계좌는 이 세금을 과세이연(나중에 한 번만 납부)할 수 있다는 게 큰 차이예요 💡
세금이 바로 빠지지 않는다는 건, 그만큼 재투자 가능한 금액이 늘어난다는 뜻이에요.
즉, 같은 수익률이라도 세금이 늦게 부과되면 그동안 복리로 더 크게 불어납니다 📈
특히 배당금이 자주 들어오는 배당ETF일수록 이 효과가 극대화됩니다.
이 계좌들은 단순히 세금을 늦출 뿐 아니라, 납입액의 일정 비율을 세액공제받을 수도 있습니다.
즉, 투자 자체로 세금도 절약하고, 수익도 복리로 키우는 일석이조 구조죠 😎
직접 해외ETF(예: SCHD, VOO)를 매수하면 배당소득세 15% + 해외 원천징수세 15%가 이중으로 부과됩니다.
반면, 국내상장 해외ETF는 이 세금이 자동 정산되어 복잡한 신고 절차가 없습니다. 또한 환전 수수료 부담도 줄어들어요.
특히 연금저축이나 ISA 계좌 내에서는 해외ETF라도 국내 상장 상품을 담을 수 있어 세제 혜택을 온전히 누릴 수 있습니다.
| 구분 | 일반계좌 | 연금저축/IRP | ISA |
| 세금 시점 | 즉시 부과 | 인출 시 부과 | 만기 시 일부 감면 |
| 세율 | 15.4%~22% | 연금소득세 (3.3~5.5%) | 9.9% 분리과세 (일부) |
| 세액공제 | ❌ 없음 | ⭕ 최대 16.5% | ❌ 없음 |
| 복리 효과 | 세금 차감 후 투자 | 세금 이연으로 복리 극대화 | 세금 절약+재투자 가능 |
즉, 해외ETF를 국내상장 형태로 연금저축펀드나 ISA에 담는 건 매우 효율적인 투자 전략이에요 💪
※ 본 글은 투자 종목에 대한 소개 및 학습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,
투자 권유 또는 추천이 아닙니다.
| 💵8편. 달러 vs 원화 배당 ETF 조합 전략 — 환율까지 고려한 현명한 투자법 (0) | 2025.11.05 |
|---|---|
| 📘 7편. 커버드콜 ETF 완전 해부 💰 — 월배당의 비밀과 한국인이 많이 산 ETF TOP 분석 (0) | 2025.11.04 |
| 💰 6편. 배당 ETF 실제 분배금 시뮬레이션 — 매달 얼마나 받을까? (0) | 2025.11.03 |
| 💵 5편. 배당 ETF 조합 전략 — 월배당 + 분기배당으로 현금흐름 극대화하기 (0) | 2025.11.02 |
| 💰 4편. JEPI 완전 해부 — 안정 속 월배당의 힘 (0) | 2025.11.01 |